본문 바로가기

쓰기

(*.166.218.87) 조회 수 709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작년 4월에 쓴 글인데..성균관대 교지에 실을 글 청탁을 어찌어찌 내가 맡기로 하고 마감날 밤이 되어서야 메일로 보내게 되었는데,, 기자에게 청탁에 대한 답변 메일을 보내지 않았다는 것을 글을 쓰고 나서야 깨닫는 바람에 그냥 내 카페에만 올렸었는데, 그때 팔홈피에도 올린다는게 깜빡...깜빡... 늦었지만 라삐끄 내용이 요약되어 있어서 올려봐요..

=========================================================================================================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점령하고 점령 국가를 세운지 60년이 지난 작년 12월말 이스라엘은 또다시 팔레스타인을 무차별 공격하는 점령전쟁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쳤습니다. 학살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인 사망자 1,370명(어린이 430명, 여성 110명), 부상자 5,400명(어린이 1,870명, 여성 800명)입니다. 학살로 죽어간 이들을 생각하며 잠시 눈을 감아봅니다.

이스라엘은 왜 끊임없이 팔레스타인지역에서 점령 전쟁을 일으키고 팔레스타인인들을 학살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영국, 미국과 같은 제국주의 국가의 힘을 등에 업고 건국 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강력한 무력을 바탕으로 한 침략 사상인 시오니즘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오니즘은 시온(=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유대인 국가를 세우자는 유대 민족주의 운동이자 팔레스타인을 식민화시키기 위한 식민주의 운동으로 1897년 테오도르 헤르즐이 주축이 되어 시오니즘운동의 연합조직인 시오니스트 기구가 탄생하게 되고 1930년대까지 팔레스타인을 비롯 중동지역의 지배권을 확대하려는 영국의 정치적 목적을 지원함으로써 세력을 키워나가게 됩니다. 팔레스타인을 차지하려는 시오니스트들의 계획은 1917년 영국정부의 발푸어선언으로 제국주의 국가로부터 최초로 공식적인 인정과 지원을 받게 되었고, 이에 반해 팔레스타인인들은 1922년 팔레스타인의 지배권이 영국의 위임통치아래 놓이게 되자 영국의 식민지배와 유대인국가의 건설, 유대인의 대규모 이주와 토지구매를 막기 위해 투쟁하게 되지만 1930년대 중반이후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급기야 1936년 5월 총파업을 선언하고 전국적으로 시위를 벌이게 됩니다. 이에 영국은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1939년까지 5,000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을 살해하고 약 1만 여명은 부상을 입고 가옥과 농지는 파괴됩니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의 힘은 급속히 약화되고, 반면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은 유대인들의 힘은 강해짐으로써 이후 이스라엘 건국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후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중동 지역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강화되자 팔레스타인문제는 유엔으로 넘어가게 되고 유엔에서는 불공정한 두국가 분할안을 결의하게 됩니다.

그 당시 유대인이 소유하고 있던 땅이 약 6%정도 였는데, 유엔이 유대인국가에게 전체 팔레스타인의 약 56%의 비옥한 땅을 할당했고 그에 비해 전체 인구의 68%를 차지하고 토지의 87% 가량을 소유하고 있던 팔레스타인인에게는 42%의 척박한 땅을 수용하도록 강요하게 되면서 팔레스타인들의 반발을 유도합니다. 그리고 1947년 미국과 유엔의 공개적 지원을 등에 업은 시오니스트들의 이스라엘 건국을 위한 본격적인 점령전쟁이 시작되고 1948년 5월 14일 영국의 위임통치가 끝나기 하루전날 시오니스트들은 이스라엘 국가 건설을 선포하고 미국의 승인을 받게 됩니다.

이스라엘이라는 국가의 건설은 곧 “팔레스타인 점령전쟁”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 건국의 바탕에 깔린 시오니즘은 공존을 원치 않기 때문입니다. 바로 지배와 점령의 사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건국 후 시작된 팔레스타인전쟁(아랍-이스라엘 전쟁)을 이스라엘은 “독립전쟁”이라고 부르고 싶겠지만 우리는 그것을 “팔레스타인 정복전쟁”이라고 표기합니다. 1949년 휴전 후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를 제외한 팔레스타인 지역의 78%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후 1956년 수에즈전쟁(영국,프랑스,이스라엘-이집트)이 있었고, 1967년 6월 5일 이스라엘이 이집트와 시리아를 기습공격하면서 6일 전쟁이 시작됩니다.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의 가자지구와 서안지구, 이집트의 시나이반도, 시리아의 골란고원을 점령하게 되고, 그 결과 중동에서의 더욱 강력한 미국의 지원을 얻게 됩니다. 그 후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이 점령한 지역을 공격하면서 1973년 “10월 전쟁”이 벌어지고 이스라엘은 점령하고 있던 시나이 반도를 돌려주는 댓가로 이집트로부터 팔레스타인 지배를 인정받게 되고 미국은 그 대가로 이집트와 이스라엘에 원조를 확대하게 됩니다.

1982년 6월 이스라엘은 계속된 전쟁으로 팔레스타인에서 쫓겨난 수십만 명의 난민들이 생활하는 곳이자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를 비롯한 팔레스타인 해방운동의 거점 역할을 하던 레바논을 침공해서 약 15,000명의 레바논인과 팔레스타인인들을 살해하고 그해 9월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 있는 두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공격 3,000여명이 살해 됩니다.

이스라엘의 레바논 학살이후 팔레스타인 해방운동의 중심이 점령지인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로 옮겨지고 되고 대규모 민중항쟁이 일어나게 되는데 바로 1987년의 12월 인티파다(민중항쟁)입니다. 이때를 ‘1차 인티파다’라고 하는데 파업, 불매운동, 조세저항등 조직적인 민중저항의 성향을 띠면서 해마다 지속되자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미국과 이스라엘은 1993년~1995년 사이에 PLO(팔레스타인해방기구)와 오슬로 협정을 맺고 이를 계기로 팔레스타인에 자치정부를 인정한 반면 이스라엘의 실질적인 점령상태는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2000년 9월 ‘알 아크사 인티파다’가 일어나게 됩니다. 알 아크사 인티파다는 1차 인티파다 때와는 달리 주로 하마스,지하드,알-아크사 여단과 같은 팔레스타인 무장조직들의 무장항쟁의 성향을 띠게 됩니다.

1987년 1차 인티파다 이후 2000년 알 아크사 인티파다가 있기 전까지 이스라엘군에 의한 살해가 1,376명이고 점령촌의 이스라엘 민간인에 의한 살해가 113명 17세 이하 사망자는 281명에 이르고, 인티파다 1년동안 3만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감금되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 알 아크사 인티파다가 시작된 이후 2008년 8월 27일까지 4,841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살해됐고(이중 여성 163명, 어린이 848명), 약 26,000명이 부상을 당하고 2,958채의 가옥이 완전 파괴되고, 2,909채가 부분적으로 파괴 되었습니다.

이러한 학살과 탄압속에서 2006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총선에서 마침내 하마스가 집권하게 되자 이를 무너뜨리기 위해서 그해 6월부터 무력 공격을 시작했고, 7월부터는 레바논을 침공해서 1,200여명의 레바논인들이 살해되었습니다.

수많은 도로가 차단되고, 곳곳에 검문소가 세워져 친척을 만나던 학교, 병원을 가던 일하러가던 끊이지 않는 검문 그리고, 2002년 6월부터는 수미터 높이의 콘크리트 고립장벽이 세워져 이동에 제한을 받고 있으며, 물과 농지를 빼앗기고, 올리브나무는 베어지고, 경제는 붕괴되고, 집에 있어도 시시때때로 폭격의 위협을 받아야만 하는 그런 삶을 지켜나가고 있는 것이 오늘날 팔레스타인인들의 현실입니다. 이마저도 할 수 없어 떠난 사람들 이들은 난민입니다.

2005년 현재 전 세계에 있는 약 970만명의 팔레스타인인 가운데 74%인 720만명이 난민으로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래 세계적으로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은 수의 난민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이런 상황이라면 어떻게 살아갈까요? 그리고 어떻게 저항할까요?

그들은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단지 생존을 위해 저항하고 있을 뿐입니다. 저항을 위해 자신의 마지막 수단인 생명을 내놓을 수 밖에 없는 그들....

진정 테러리스트는 공존과 평화를 거부하고 오로지 힘의 논리로 침략과 지배를 일삼으며 학살을 자행하는 이스라엘과 그들의 우두머리 미국이 아닐까요?

팔레스타인을 다녀온 친구는 말합니다.

우리가 당신들을 위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라고 물었을때 그들은 말합니다.

우리는 테러리스트가 아니라고, 우리가 처한 상황을 있는 그대로 사람들에게 전해 달라고.

그렇습니다. 그들은 지금 외롭고 힘겨운 투쟁을 하고 있고, 단지 세상에 진실이 전해지길 갈망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그간의 잘못을 뉘우치고 서로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이 오기를 바래봅니다. 그렇치 않다면 그러한 세상이 올 때까지 팔레스타인 민중들의 저항은 계속 될 것입니다.

  • ?
    반다 2010.01.28 01:09 (*.44.174.37)
    그때, 그랬었구나. 전에 인터뷰 왔던 팀과는 다른 팀이었던건 기억나는데, 답장을 안해서 원고 못보낸 건 기억이 싹 안나-_-
    아참, 보내준 고구마와 곶감은 감동하며 먹었어.
    아랍어 교실을 열심히 하는 수강생들에게 맛좋은 영양간식 이었음.
    고마워~
  • ?
    역구라 2010.02.04 09:18 (*.166.218.87)
    골라서 보내기는 했는데 고구마가 괜찮았나 모르겠네.. 워낙 날씨가 추워서..
    하하 영양간식.. 간식은 역시 영양에서 나는게 좋은건가봐..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90 개발 도상국, 그리고 그 곳의 시골에 산다는 것에 대한 의미 첫 번째, 행복감 4 file 2009.11.03 올리브 9839
89 개발도상국에 산다는 의미, 두 번째 문화의 이해에 대하여. file 2009.11.26 뎡야핑 7491
88 알리 아부니마의 '하나의 국가'를 읽고 1 file 2009.12.20 미니 6537
87 나의 요즘 관심사에 대한 설명, Cross generational & Transactional sex in Uganda file 2009.12.21 올리브 8281
86 아흐메드 라시드의 '혼돈 속으로의 추락'을 읽고 file 2009.12.24 미니 6420
85 일란 파페의 '팔레스타인의 인종청소'를 읽고 1 file 2010.01.10 미니 9080
84 "장벽 너머에 있는 우리 땅은 빼앗길 염려가 없어" 2 file 2010.01.11 반다 9322
» 이스라엘의 침략과 점령의 역사 2 2010.01.27 역구라 7092
82 [피 흘리는 아프가니스탄 - 워싱턴, 군벌 그리고 침묵의 선전]을 읽고 1 file 2010.01.31 미니 10929
81 [영화] 평화의 씨앗 3 2010.02.02 뎡야핑 11435
80 이스라엘이 꿀꺽 삼키려는 '예루살렘' file 2010.03.16 알리아 7459
79 동아일보에 실린 [허락받지 못한 메카의 순례자]를 읽고 1 file 2010.03.17 미니 8269
78 팔레스타인의 ‘땅의 날’(Land Day)을 아십니까? 1 file 2010.03.19 알리아 9228
77 팔레스타인을 하나로, 팔레스타인 땅의 날 1 2010.03.29 뎡야핑 13105
76 땅의 날을 맞이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이야기 2010.04.05 뎡야핑 6627
75 돌아보기) 팔레스타인 성지순례①-현황과 문제점 1 file 2010.04.30 현미씨 11836
74 '가자-스데롯 전쟁 전의 기록' 영화모임 후기 1 file 2010.04.30 현미씨 15034
73 5월 14일,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왜 ‘대재앙(알-나크바)’의 날인가 1 file 2010.05.13 현미씨 13446
72 팔레스타인, 오랜 파도가 바위를 부수듯 - 2 file 2010.06.06 미니 8614
71 팔레스타인, 오랜 파도가 바위를 부수듯 - 1 3 file 2010.06.06 미니 81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