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4.224.28) 조회 수 676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902/h2009020602295024420.htm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336871.html» 홀로코스트 이후 유대인에 대한 비난은 신학적 금기가 됐고, 기독교는 이스라엘 정부가 자행하는 타자에 대한 횡포에 침묵했다. 왼쪽 사진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억류된 유대인 여성들, 오른쪽은 지난달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에 항의해 나치 독일의 상징을 집어넣은 이스라엘 국기를 불태우는 스페인 시위대. <한겨레> 자료사진

“한국교회 ‘친이스라엘’은 신앙적 식민지화 산물”
한겨레         이세영 기자
        
김진호 목사 ‘종교인 토론회’ 발제

유럽서 ‘발명’된 이스라엘 역사와
미국 근본주의 교파 영향 받아
팔레스타인 등 약자 감싸야

한국 주류 기독교의 ‘이스라엘 사랑’은 유난스럽다. “북핵 해결을 위해 이스라엘의 강경노선을 본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이름난 교계 지도자들이 스스럼없이 펼칠 정도니, 가자 침공을 ‘정당방위’라 두둔하는 것은 차라리 점잖은 축에 속한다. 이 골수에 사무친 친이스라엘 정서는 대체 어디서 발원하는가.

많은 이들이 이 땅에 개신교를 전파한 미국 복음주의 교단의 보수성을 탓하지만,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의 김진호 목사(사진)는 한 걸음 더 나간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에 대한 혐오와 결합된 친이스라엘 정서는 미국의 근본주의 교파뿐 아니라 비교적 온건하고 성찰적인 유럽 기독교조차 안고 있는 일반적 문제”라는 것이다.

김 목사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과 관련해 종교인 네트워크가 5일 개최하는 긴급토론회의 발제문에서 “(한국 기독교의) 친이스라엘 성향은 서구의 ‘성공주의’ 신학에 예속된 식민화된 의식의 결과물”이라며 “이것을 성찰할 지적·신앙적 의지가 없다면 한국 기독교의 미래는 없다”고 단언했다.

김 목사가 볼 때, 현대 기독교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보는 관점은 근대 유럽 세계의 산물이다. 자기 문명의 종교적 뿌리 찾기에 나선 유럽인들이 다윗-솔로몬 제국(기원전 10세기)과 이스라엘인의 팔레스타인 정착(기원전 13~11세기)과 같은 고대 이스라엘 역사를 ‘발명’하는 과정에서 ‘신의 축복을 받은 문명국 이스라엘’과 ‘미개한 피정복민 팔레스타인’에 대한 피아 이분법의 관념이 형성됐다는 얘기다.

그가 다윗-솔로몬 제국과 팔레스타인 정착사를 ‘발명된’ 것으로 보는 이유는, 여기에 관한 기술 자체가 매우 빈약한 사실에 기초해 있기 때문이다. 김 목사는 “최근의 고고학·문헌학적 연구들은 다윗-솔로몬 왕조의 번영을 기술한 구약성서의 내용이 역사적으로 실증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나안 정착 역시 이스라엘인들이 외부(이집트)로부터 들어와 토착세력을 대체한 게 아니라 토착민 일부가 산간지역으로 이탈한 뒤 부족동맹을 형성하고 성읍국가와 대결하다 평야지대에 재정착하는 과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요컨대 고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이스라엘인과 비이스라엘인의 혈통적 이분법은 작동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김진호 목사
        
그러나 이스라엘 고대사가 ‘발명됐다’는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이 발명된 역사가 근대 유럽 세계에서 수행한 정치적 기능이다. 김 목사가 볼 때, 다윗-솔로몬 제국 설화는 세속적 번영을 신이 내린 축복의 징표로 해석하는 서구식 성공주의를 신학적으로 뒷받침했다. 마찬가지로 가나안 정착 설화는 정복을 통해 야만 민족을 문명화하는 것이 신이 부여한 사명이라는 서구의 제국주의 논리에 정당화 근거를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세속적 역사의 실패자인 팔레스타인 부족은 이스라엘에 지배당해도 마땅한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간주될 수밖에 없었다는 게 김 목사의 설명이다.

이런 서구 기독교계에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는 경천동지할 사건이었다. 20세기 기독교 문명국가에서 벌어진 ‘인종 절멸’이란 야만 행위는 ‘문명=성공=축복’이라는 근대 신학의 성공주의 신념체계를 송두리째 흔들어놓았다. 이 과정에서 홀로코스트를 초래한 유럽 사회의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를 일소하려는 움직임이 현대 신학 안에서도 뚜렷한 조류를 형성했다. 문제는 이런 움직임이 유대인 학살에 대한 뼈아픈 기억에 압도된 나머지 성공주의 신학 전반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지 않고, 기독교의 전통적 ‘반유대주의’를 무비판적 ‘친유대주의’로 뒤집어놓는데 머물렀다는 점이다. 팔레스타인은 여전히 “기독교의 상생 대상인 유대교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적 역사”로만 조명될 뿐, 그들의 고통은 “회수되고 유기됐다.”

이런 연유로 2차 대전 이후의 서구 신학은 유대교 엘리트나 이스라엘 정부가 자행하는 타자에 대한 횡포에 문제제기를 하지 않았다. 유대인을 비난하는 것 자체가 신학의 금기가 됐기 때문이다. 김 목사는 이처럼 유대인과 이스라엘 정부의 모든 행위에 면죄부를 주는 서구 신학을 ‘홀로코스트 신학’이라 명명한다. 홀로코스트 신학은 과거의 희생자가 힘없는 이웃에 강요하는 또다른 희생에 침묵한다는 점에서 사실상의 ‘제국 신학’이다. 따라서 “과거의 이스라엘이 아닌 지금의 팔레스타인, 나아가 전지구적인 약자의 고난에 참여하고 싸우는 ‘홀로코스트 너머의 신학’이 필요한 때”라고 김 목사는 말한다.

토론회에서 김 목사와 함께 발표자로 나서는 임지현 한양대 교수는 ‘홀로코스트와 희생자의식 민족주의’라는 글을 통해 유대인들의 희생자의식이 혈통주의에 의해 지탱되는 이스라엘의 공격적 민족주의를 어떻게 지지하고 강화하는지를 규명할 계획이다. 행사는 5일 오후 3시 서울 서대문 돈의빌딩 안병무홀에서 열린다. (02)363-9190.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편집국에서/2월 6일] 성지순례와 짝사랑

남경욱 문화부 차장 kwnam@hk.co.kr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침공이 한창이던 지난달 중순 서울의 주한이스라엘대사관 앞에서 이례적인 기도회가 열렸다. 이스라엘 정부에 공격 중단을 촉구하는 진보적 기독교 단체들의 모임이었다. 이 기도회에서 흥미로운 제안이 나왔다. 성지순례를 중단하는 서명운동을 해 이스라엘에 압력을 가하자는 것이었다.

이스라엘을 방문하는 한국인은 한해 3만 명이 넘어 아시아에서는 중국, 일본을 제치고 가장 많다. 대부분이 성지순례객인 이들이 쓰는 돈이 팔레스타인을 공격하는 무기를 사들이는데도 사용될 것이므로 이스라엘이 평화정책으로 돌아설 때까지 성지순례를 중단하자는 주장이다. 친이스라엘 정서가 강한 한국에서 팔레스타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 자체가 드문지라 이 제안은 더욱 신선해보였다.

그러나 1,300명이 넘는 무고한 인명이 희생된 이번 사태에 기독교계 주류는 대부분 침묵을 지켰다. 과거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침공 때 목소리를 높였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오히려 이스라엘의 공격이 정당방위라고 주장한 한 교계 지도자급 인사의 발언이 일파만파를 일으켰다.

가자 침공 기간에 벌어진 이 사례들은 현 시점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관계를 포함, 중동 문제를 바라보는 한국인의 두 가지 관점을 그대로 드러냈다.

한국은 중동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어 급박한 이해관계가 없는데도 쓸데없는 반아랍 감정과 친이스라엘 정서를 갖고 있는 것 같다. 30년 전 다니던 미션스쿨의 채플 시간에 이런 설교를 들은 적이 있다. 이스라엘은 선택받은 민족이고, 조선도 마찬가지로 선택받은 민족이다. 조선이라는 말이 영어로 '선택받은(chosen)'이라는 뜻이므로 그렇다는 것이었다. 이번에 이스라엘 지지 발언을 한 이의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우리 민족을 보호해주실 것"이라고 한 말을 접하니 그 설교가 생생하게 되살아났다.

당시는 냉전 시절이어서 한국은 미국의 외교정책을 그대로 따랐고 친 이스라엘 정책도 마찬가지였다. 새마을운동을 하던 때라 교과서에는 사막에 옥토를 가꾼 이스라엘의 집단농장 키부츠가 덴마크와 함께 모범사례로 소개돼 있었고, 선진 농업을 배우러 이스라엘로 가는 이들도 많았다. 여기에다 종교의 발상지를 존중하는 측면도 더해져, 이스라엘과 유대인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부추겼다.

냉 전이 끝난 지 20년이 됐는데도 아직도 이렇게 길든 시각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를 보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우리의 국가적인 이해관계가 아니라, 이스라엘을 사상적 원조격으로 생각하고 무조건적인 지지를 보내는 미국의 일부 보수 기독교계의 입장을 그대로 추종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들이 이스라엘을 생각하는 만큼 이스라엘인들이 한국을 생각해줄지 의문이다. 낭만적인 짝사랑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가자 지구를 생지옥으로 만든 이번 사태가 잠재돼있던 우리의 편견을 들추어냈다. 과거 이 땅에서도 그에 못지않은 생지옥이 있었다. 가자 전쟁은 이민족 간의 일이지만, 해방 직후 좌우익 갈등과 6ㆍ25전쟁의 와중에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가 충돌하면서 일어난 비극은 동족 간의 일이었다. 소설가 황석영씨가 북한을 방문해 그 실상의 한 단편을 들은 후에 쓴 <손님>에서 황해도 사투리로 한 말이 생각난다. "이스라엘이나 조선으 하나님 겉은 건 없다오. 그냥… 하나님언 하나님이디."
* 뎡야핑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9-07-18 17:50)

  • ?
    현미씨 2009.02.10 15:09 (*.147.121.185)
    덩~~. 5일 종교인 긴급토론회 발제및 토론문 자료집 다운받아놨어요. 이것 말고도 강정구 샘 원고나 홍미정 샘 원고 등 다른 자료들 올리게 자유게시판 아래 방 하나좀 만들어 줄래요? '기타 읽을거리.볼거리'로 하던지 덩이 먼저 정해놓구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70 일반 홀로코스트 희생자 이스라엘? file 2009.02.20 미니 7031
69 <영화인 성명서> 이스라엘을, 그리하여 제11회 EBS국제다큐영화제를 보이콧하겠습니다 2014.08.11 올리브 6959
68 일반 위험한 평화, 위기의 가자 (2) 2008.01.04 올리브 6898
67 단절된 현실에서부터 저항을 시작하자! file 2011.02.19 Ich 6896
66 일반 팔’ 유학생 알라딘의 애끓는 망향가 file 2009.01.07 올리브 6800
» 일반 “한국교회 ‘친이스라엘’은 신앙적 식민지화 산물” 1 file 2009.02.06 뎡야핑 6763
64 팔레스타인과 아랍 민중 항쟁: 누가 무엇을 기다리고 있는가? file 2011.03.15 Ich 6729
63 일반 중동평화 막는 암초, 정착촌 문제 file 2008.11.18 올리브 6715
62 일반 2009년에는 장벽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 file 2008.12.22 미니 6697
61 일반 유럽 연합은 가자 지구를 질식시키고 있는 이스라엘을 어떻게 지원하였나 file 2008.03.25 올리브 6689
60 일반 [대담] 가자 청년들이 말하는 이스라엘의 승리 가능성 file 2009.01.05 올리브 6643
59 일반 가시 선인장을 읽고 file 2008.08.20 미니 6643
58 일반 ‘평화주의자’로 둔갑한 치피 리브니와 샤론 file 2008.10.04 올리브 6633
57 일반 아, 나의 가자! file 2008.12.30 올리브 6629
56 땅의 날을 맞이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이야기 2010.04.05 뎡야핑 6625
55 일반 유럽, 이스라엘의 가자 봉쇄를 지원하다 file 2009.03.07 올리브 6622
54 일반 갈등의 근본적 원인은 무시한 채 1 file 2009.01.24 뎡야핑 6610
53 일반 이스라엘의 진정한 의도 file 2009.01.10 뎡야핑 6607
52 일반 월러스틴 "이스라엘은 지금 자살하고 있다" 1 file 2009.01.17 뎡야핑 6591
51 일반 "이스라엘, 큰 도박판에 뛰어들었다" file 2008.12.29 올리브 65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